박사논문

삼위일체론의 생태신학적 함의, 홍태희

삼위일체론의 생태신학적 함의

 

구분 내용
제목 삼위일체론의 생태신학적 함의: 칼 라너, 조셉 브락켄, 레오나르도 보프의 삼위일체론을 중심으로

Ecotheological Implication of the Trinitarian Theology: Based on the Trinitarian Theology of Karl Rahner, Joseph Bracken and Leonardo Boff

저자 홍태희 (Hong, Tae Hee)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지도교수 박종구
발행년도 2020
학위 수여년월 2020.08.
학과 및 전공 신학대학원 신학과
UCI I804:11029-000000065405
본문 언어 한국어
저작권 서강대학교 눈문 저작권
키워드 삼위일체 , 생태신학 , 칼라너 , 조셉브락켄 , 레오나르도보프 , 과정신학 , 범재신론 , 페리코레시스 , 사회적유비 , 상호주체성 , 신적위격 , Trinity , Ecotheology , Divine hypostasis , Karl Rahner , Joseph Bracken , Leonard Boff , Process Theology , Panentheism , Perichoresis , Social analogy , Intersubjectivity.

 

초록

현대 사회의 생태 위기에 대한 인간의 반응은 단순한 환경보전주의 차원을 넘어 생태계 자체의 가치와 상호 연결적 관계에 집중하는 심층 생태론의 모습으로 나타났다. 이에 응답하는 신학 또한 인간 중심적 관점, 생태 중심적 관점, 신 중심적 관점의 다양한 형태로 전개 되어 왔다.

 

본 논문은 생태신학의 접근 방식에 있어 그리스도교 신앙의 근본 경험인 삼위일체 교의가 담고 있는 생태적 관점에 주목하여 그리스도교의 정체성에 기반을 둔 생태신학의 의미를 밝혀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전통 신학에서 현대 신학으로 넘어가는 지점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평가받는 칼 라너, 자연과학과 신학을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과정 신학자 조셉 브락켄, 역사적 맥락과 복음의 가난한 자들의 해방의 관점에서 신학을 전개하는 레오나르도 보프의 삼위일체론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칼 라너는 세계에 하느님의 자기-전달로서의 은총이 증여되고 있다고 해석하였다. 또한 모든 창조물이 그리스도에 의해 신성과 결합되어 신화의 종말론적 완성을 향하여 진화한다는 해석은 우주적 차원에서 세계 내 존재들의 내재적 가치를 발견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라너의 삼위일체론은 우리가 일상에서 만나는 모든 창조물을 통하여 하느님을 살아계신 것으로 경험할 수 있다는 의미를 전해준다.

 

브락켄의 유기적 생태론은 존재에 관한 새로운 통찰인 과정 사상을 통하여 사회적 실체론을 하느님의 존재방식인 삼위일체로까지 확장하였다. 세 위격들은 세계를 포함하는 무한한 활동의 ‘장’에서 성부의 창조성과 성자의 구속사와 그것을 연결하는 성령으로서 하느님 실체를 형성한다. 이것은 창조가 발생하는 하느님 매트릭스 안에서 하느님과 세계, 인간과 자연이 관계적 구조로서 연결된 실체로 존재한다는 것을 설명한다.

 

보프는 하느님 위격들의 친교적 공동체로 이루는 삼위일체를 강조하며 해방자 그리스도를 통하여 가난하고 억압받는 자의 범주에 속하는 자연 생태계의 해방을 향한다. 사회적 차원에서의 신앙 실천을 강조하는 그가 제시하는 삼위일체론은 해방 활동의 최종적 목표의 원형으로 제시된다. 그리스도교 공동체의 근본적 신앙 체험인 삼위일체를 고유의 관점에서 현대적 언어로 해석한 세 신학자의 삼위일체론에서 다음과 같은 생태신학적 의미를 발견할 수 있다.

 

첫째, 삼위일체적 존재방식을 갖는 하느님은 세계 내재성과 초월성을 동시에 갖는 하느님이다. 따라서 우리는 세계의 일상에서 거룩함을 발견할 수 있다. 둘째, 모든 창조물은 피조된 속성에서 동등하며 각자 고유한 가치를 갖는다. 그 안에서 인간은 세계의 정신으로서 고유한 역할과 가치를 갖는다. 셋째, 세계의 물질성은 성자의 육화를 통하여 신성과 결합하여 삼위일체적 일치의 완성을 향하여 우주적 전망을 갖고 신화하여 간다.

 

내재적 삼위일체와 경륜적 삼위일체에 관한 세 신학자의 해석은 당면한 생태 위기를 인식하고 극복하고자 하는 실천이 하느님을 향한 신앙의 실천과 같은 것임을 이해하는 기반을 제공한다. 동시에 그것은 그리스도교가 반생태적이라는 오해에서 벗어나는 근거가 된다. 또한 삼위일체론에 기반한 생태신학은 인간이 역할을 축소하여 생태계의 평등성 안으로 환원되는 것을 거부하며 창조의 목적에 따라 유기적 세계의 전체성 안에서 정신으로서의 인간의 역할을 강조한다. 그것은 인간이 창조된 피조물로서 세계 안에서 자신의 위치를 인식하고 고유의 역할을 긍정하는 관점을 갖는 것이다.

 

삼위일체론을 기반으로 하는 생태신학은 세계를 물질과 자연적 생명만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지 않고, 세계를 통하여 창조주가 함께 하는 신성한 장소임을 인식하게 한다. 이것은 피조물인 인간의 한계를 되돌아보며 창조의 질서를 존중하도록 깨닫도록 이끈다. 하느님 삼위일체의 내재적 존재방식과 세계를 향한 경륜에 관한 이해를 기반으로 하는 생태신학은 다양한 신학적 방법론으로 전개하는 생태신학에 있어서 신앙의 근본 경험에 근거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Abstracts

The human response to the ecological crisis in modern society has emerged as an deep ecology that focuses on the value of the ecosystem itself and its interconnected relations beyond a simple environmental conservation. Theology that responds to this context has also been developed in various forms: human-centered, ecological-focused, and god-focused. This paper starts by raising the question that it is necessary to reflect on this situation and propose a ecotheological view rooted in trinitarian theology that contains the fundamental experience of Christian faith. This study includes Karl Rahner who is considered the pioneer in the transition from traditional to modern theology, Joseph Bracken who is a process theologian understanding the natural sciences and theology in an integrated way, and Leonardo Boff who has developed the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liberation of the poor. Rahner interpreted the world as the bestowal of God’s self-communication grace. It is also to discover the intrinsic value of beings in the world at the cosmic dimension that all creation is interpreted as evolving towards the eschatological completion of deification combined with divinity in Christ. Therefore, it offers a meaning that we can experience God’s presence through all the creatures we meet in our daily lives. Bracken’s organic ecology expanded social substantialism to the Trinity through process thought, a new insight on existence. The three divine hypostases form the substance of God in the “field” of the infinite activity involving the world, with the Creativity of the Father and the Redeemer of the Son and the Holy Spirit connecting it. This explains that the God-world (human-nature) is connected as a relational structure in the God’s Matrix where creation continues to occur. While emphasizing the Trinity as an intimate community of Divine hypostases, Boff seeks the liberation of the natural ecosystems which is identified as the poor and oppressed through Christ the Liberator. The Trinity become the prototype of the ultimate goal of liberation for the society and nature while Boff emphasizes the practice of faith at the social level. The ecotheological meaning of the trinitarian theology by three theologians in contemporary language can be explained as follows. First, the Triune God is living in the world with creature and also transcend world. Therefore, we can find holiness in the daily life of the world. Second, all creatures are equal in their created attributes and each has its own value. Human beings have a unique role and value as the spirit in the world. Third, the materiality of the world is combined with divinity by the incarnation of the Son and become deification with a cosmic outlook toward the completion of the trinitarian unity. The interpretations of the immanent and the economic Trinity provide a understanding that the recognizing and overcoming the present ecological crisis is the practice of faith toward God. At the same time, it forms the basis for escaping the misunderstanding that Christianity is anti-ecological. In addition, the ecotheology based on trinitarian theology refuses human beings to reduce their role and return to the equality of the ecosystem, and emphasizes the human role as a spirit within the totality of the organic worl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creation. It is for human beings to recognize their position in the world and affirms their role as a creature. The ecotheology based on trinitarian theology makes us recognize that the world is not a place as being made up of material with naturalistic life alone but a sacred place where the Creator lives together. This leads us to look back the limitations of man and to respect the order of creation. Ecotheology which i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immanent and economical Trinity can serve for ecological theologies developed through various methodologies as a guide to be rooted in the fundamental experience of faith.

목록